
18일 오후 서울 용산구의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에서는 '2025 게임과학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게임과학연구원과 디그라한국학회가 공동 개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물관리위원회, 게임문화재단, 한국게임산업협회 등이 후원한 이번 행사는 '다면적 플레이어: 게임 플레이의 다양한 층위들'을 주제로 게임 이용자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 내용이 소개됐다.

우선 조사 대상의 국가들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를 제외하고는 조사 국가 대부분이 자국 고유의 질병분류 체계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체로 국제 표준(ICD)에 기반하면서도 자국 보건정책 및 통계 목적에 맞게 수정 및 개정 운영 중이라 소개됐다.
또한 ICD-11의 도입과 관련해서는 아직 공식적으로 적용한 국가는 없으며 대만과 말레이시아, 인도, 프랑스, 핀란드 등이 도입 프로세스를 진행 중, 일본과 슬로바키아가 사전 준비 단계에 있다. 이어 조사 대상이 WHO의 ICD-11 내 게임이용장애 도입과 관련해 현재 논쟁이 있다고 평가한 국가는 미국과 일본, 프랑스, 핀란드, 호주 등 5개 국가다.

ICD-11에서 게임이용장애를 질병으로 분류한 것과 관련해 조사 참가 대상들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던 국가는 대만, 미국, 스페인, 슬로바키아, 프랑스 호주 등이며 그 이유로는 '과잉 진단'과 '낙인효과', '근거 부족' 등이 주요 이유로 제시됐다.
또한 중립적 입장을 보였던 독일과 중국, 핀란드의 조사 참가 대상들도 명확한 찬반 입장은 보류하면서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은 인정했다.

국가별 주요 쟁점에 대해서는 미국의 경우 미국심리학회의 DSM 최신 개정판에서도 게임이용장애를 공식 진단으로 포함하지 않았으며, 호주는 '게임이용장애' 개념에 대한 회의적 의견이, 핀란드는 '게임이용장애'를 뜻하는 'Gaming Disorder'의 번역 과정에서 명칭에 과도한 병리화와 낙인효과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는 의견이 있었다.
반대로 찬성 의견을 보이는 중국의 경우 "'게임이용장애' 개념을 적극 수용하고 있며, 오히려 포함을 위해 적극적으로 로비가 이뤄지고 있다고 소개됐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발표한 진예원 교수는 "국가간 입장 차이는 단순히 국제 기준의 수용 문제를 넘어 국가간 상이한 문화적 의미부여, 게임의 사회적 기능과 산업적 위상, 게임을 둘러싼 담론 지형과 긴밀히 얽혀있다"며 "등재 여부는 임상적 판단만으로 결정할 수 없으며, 국내외를 아우르는 관점에서 인류 전반 혹은 국가 내에 미치는 문화, 사회, 경제, 정책 등 영향을 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발표를 마무리하며 진예원 교수는 "이번 조사에 참여한 국가 수가 제한적이고 전문가 개인 의견에 기반한 탐색적 조사로 객관성과 대표성에 일부가 한계가 존재했다"며 "보다 다양한 국가와 전문가 유형의 참여를 통해, 더욱 신뢰도 높은 국제 비교 연구 기반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라고 제언했다.

김형근 기자 (noarose@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