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게임 이재석 기자]
한빛소프트가 지난 22일 오후 2시 22분, '삼국지천'의 공개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어느덧 일주일이란 시간이 넘었네요. 그간의 추이를 지켜보며 데일리게임에서 오고간 이야기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까도남)= 지난주 금요일 한빛소프트가 보낸 리뷰를 보고 느낀건데 아직 판단할 때가 아니랍니다. 리뷰 내용을 살펴보면 25레벨 전까지는 아무 말도 하지 말라네요.
(망나니)= 왠 25레벨요?
(까도남)= 글쎄요. 25레벨 이후 전장 들어가고, 그러면 재미있어진다고 하는데 그 전까지는 아무 말 말아야하는 것 아닐까요. 여기서 난상토론 끝내야하는 분위기인데요. 주제를 잘못 잡았나?
(쾌남)= 그래도 게임전문 기자로서의 내공이 있죠. 게임 이야기말고 다른 주제로 넘어가죠.
(땡이아빠)= KOEI(코에이) 시리즈만큼은 아닌 것 같은데...(웃음)
(쾌남)= 일단 주제를 바꿔보죠. 삼국지천도 삼국지 게임에 속한다고 해야할까요?
(덕9)= 기존에 나왔던 삼국지 게임들과 기본 베이스는 비슷한 것 같던데, 삼국지 게임으로 봐야하지 않을까요.
(땡이아빠)= 사상이 없는 것 같은데요. 삼국지천은...
(까도남)= 제 생각에는 세계관과 그래픽만 인용됐을 뿐이지 삼국지 게임은 아닌 것 같네요. 고구려, 백제, 신라만 넣어도 게임은 나오자나요. 코에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관우, 장비 같은 같은 영웅이 나와서 적을 물리치거나 병법을 쓰는 경우는 없지 않나요?
(덕9)= 영웅으로 변신을 하면 적을 몰살할 수도 있자나요.
(까도남)= 그게 아니라, 적 전체를 섬멸하거나 하는 것들을 말하는 것이죠.
(까도남)= 기억 못하시면 밝힐 수는 없습니다. 그 기사를 쓴 사람도 반성을 하고 있어요. 뒷 부분만 빠졌어도 괜찮았는데...
(땡이아빠)= 어쨌든 삼국지라는 것에 대해서 크게 생각을 한번 해봅시다. 반지의 제왕을 비롯해 스토리가 강한 영화나 기타 등등 것들이 게임으로 제작된 사례는 많아요. 하지만 MMORPG로 거듭 났을 때 성공한 게임은 없죠. 국내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하고 게임을 하는 사람이 없는 것 같아요.
(쾌남)= 동영상도 스킵하는 판국에 누가 스토리를 파악하겠어요.
(땡이아빠)= 테라를 개발한 김강석 대표가 말하길 훌륭한 스토리라인으로 연출해도 오픈하면 스킵만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것 같네요. 얼마나 허무하겠어. 유저들을 위해 조사 등 문법에 맞춘 대화체를 써도 안 보잖아요. 원점으로 돌려서 삼국지천에서 삼국지 걷어내고 MMORPG의 면만 살펴보면 성공 가능성은 충분한 것 같네요.
(까도남)= 그렇긴 하지만, 예전 삼국지천 기자간담회에서 한빛소프트가 삼국지를 들이미는 모습을 애써 좋은 쪽으로 해석하기가 힘드네요.
(땡이아빠)= 삼국지를 소재로 한 게임이라면 '삼국지를품다'가 정석 아닌가요. 그럼 삼국지천은 한빛의 프로젝트S 정도로 가야하는 것일까요?
(쾌남)= 게임에 접속했을 때 첫 느낌은 어땠어요. 삼국지 느낌이 강하다던가, 모양만 삼국지에 일반적인 MMORPG 라던가.
(망나니)= 진정 사활을 걸은 것이군요.
(땡이아빠)= 충격적이네요. 테라나 블레이드앤소울이랑 비교 한번 해보죠.
(까도남)= 한빛이 이 글을 본다면 싫어하지 않을까요.
(쾌남)= 전 시작 버튼을 누르는 순간 불멸온라인이 떠올랐어요. 많이 다른 게임이지만 왜 자꾸 비슷하다는 생각이 드는지...
(까도남)= 그럼 오토로 밀면 되겠네요. 삼국지천도 불멸과 같은 시스템을 선택하면 잘 될 것 같은데요.(웃음) 하던 얘기 계속하죠. 경험치 시스템의 경우 캐릭터 대리 육성을 게임사가 돕는 형태인데, 보기 안 좋긴 하네요.
(망나니)= 쩔 따위는 필요없다? 경험치를 팔아서 돈을 마련할 수도 있지요. 어찌됐든 작업장한테는 최적화된 게임이라고 생각하네요. 일반적인 게임과 달리 수입이 2배로 늘 것 같은 느낌이...
(까도남)= 장단점이 있겠죠. 삼국지천 특성상 삼국으로 나눠진 무한 전투가 가능하기 때문에 경험치 구매도 필수불가결한 존재가 될 수 있겠네요.
(쾌남)= 한빛은 '삼국지천'의 상용화를 언제쯤 생각하고 있을까요.
(망나니)= 이제 겨우 일주일 밖에 안됐는데요 뭘.
(까도남)= 그럼 왜 부분 유료화인지 정액제인지 결정을 못할까요. 아직 상황을 지켜봐야 하는 것인가. 내부적으로는 테라 급으로 생각하는 것 같은데, 광고도 많이하고 이벤트다 뭐다 진짜 뭔가 많이 하잖아요.
(망나니)= 현 상황을 지켜볼 때 정액제보다는 부분 유료화가 나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경쟁작들이 워낙 많아서...
(덕9)= 부분 유료화로 캐릭터 카드를 판매하는 것도 괜찮겠네요.
(망나니)= 냉정하게 말하자면 붐업이 안되는 것 같아요. 오픈하고나서 와 닿는 것이 없다고 해야 할까.
(덕9)= 그 부분은 오픈 시기에 문제가 있었던 것 같기도 하네요. 222라는 의미를 두긴 했지만 정작 게임을 플레이하는 19세 이상 게이머들에게 줄 수 있는 강한 임펙트가 없었던 것은 사실이죠.
(쾌남)= 시기적인 문제라면, 아오이소라 같은 배우라도 썼어야 하는 것인가. 초선 복장을 한 아오이소라라면 충분히 이슈가 될 수도 있긴 했겠네요.
(까도남)= 감이 안잡히네요. 프리오픈 때문인지는 몰라도 검색어 1위도 하고 서버도 늘리고 했는데, 타이밍상 주말 지나고 나서도 별로 이슈가 안되는 것 같네요. 동접 발표도 안나온 것을 보면 아직 이르기 때문인가.
(쾌남)= 일단 정리를 하죠. 한빛도 나름 상용화 계획을 잡고 있을테니 우리끼리 왈가왈부 할 필요는 없겠네요.
(까도남)= 어찌됐든 25레벨 이후 쟁 시스템이 잘 되있다고 하니, 25레벨 캐릭터를 파는 것도 괜찮겠네요. 회사가 휘청이는데 작품 그만하고 상품 만들어야죠. 상업적인 성공이 필요할 땐 욕을 먹더라도 과감하게 돌격할 필요도 있어요.
(망나니)= 철저히 상업적으로 랜덤형 카드를 넣는 것도...
(까도남)= 게등위에서 심의를 해줄까요. 아무튼 전쟁 시스템과 공성전 등 상대방과 PVP 콘텐츠를 제대로 살리면 충분히 가능할 것 같네요. 한빛 같은 회사 무너지는 것은 보고 싶지 않아요. 명가 한빛 화이팅입니다.
*다음 이 시간에 계속됩니다. 다음 '난상토론' 주제는 '지스타 개최지는 어디?' 입니다. 많은 기대 부탁 드립니다
jshero@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