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코리아는 지난 6일 ‘피파온라인3’를 공개했다. 전작은 네오위즈게임즈와 공동 개발했지만 후속작은 100% 자체 개발했다. 온라인게임 기술력이 부족한 EA가 ‘피파3’를 순수 기술력으로 개발할 수 있었던 것은 EA서울 스튜디오 덕분이다.
EA서울 스튜디오는 2010년 1월 29일 설립됐다. 그 보다 1여 년 전인 2008년 12월, EA는 J2M을 인수했다. J2M은 실사 레이싱게임 ‘레이시티’를 서비스하면서 기술력을 인정 받은 토종기업이다.
글로벌 기업 EA는 온라인게임산업 진출을 탐냈으나 좋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997년 ‘울티마온라인’(엄밀히 말해 자체 개발작은 아니다)을 서비스 하면서 온라인게임의 가능성을 확인한 EA는 연이어 ‘모터시티온라인’, ‘어스앤비욘드’(Earth&beyond), ‘심즈온라인’ 등을 서비스 했지만 흥행에 실패했다.
EA는 2006년 네오위즈게임즈와 자사 유명 IP(지적재산권)을 공동개발하는 방식으로 기술력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그렇게 해서 나온 게임이 ‘피파온라인’. ‘피파온라인’은 1년 뒤 엔진을 업데이트해 ‘피파2’를 선보였고, 이 게임은 대박이 났다. 게임 완성도도 높았지만, 월드컵이나 올림픽 시기에 맞춰 축구붐을 조성한 마케팅도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잘 알려졌다시피 네오위즈게임즈와 EA는 ‘피파2’ 계약 연장을 놓고 갈등 중이다. ‘EA가 피파 라이선스를 사용할 수 있는 온라인게임은 1종으로 한정한다’는 확인할 수 없는 소문도 돌고 있다. 이대로라면 ‘피파2’ 서비스는 종료될 분위기다. 이로 인해 5년이 넘게 이 게임을 즐겨온 게이머와 개발과 마케팅을 지원한 네오위즈게임즈의 타격은 눈에 보듯 뻔하다.
인수를 당한 토종기업에겐 자본이 필요했고 더 큰 무대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주어졌지만, 반대급부로 전세계에서 최고라는 한국 온라인게임 기술력이 넘어간 것 같다. 행사 내내 ‘피파3 자체개발’이라는 단어가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긴 이유다
[데일리게임 곽경배 기자 nonny@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