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 90% “현 정부 산업발전에 기여 못해”
‘현 정부가 한국 게임산업 발전에 기여했다고 보십니까’라는 질문에 168명(90%)이 ‘아니다’, ‘전혀 아니다’라는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습니다. ‘보통이다’라고 평가한 사람은 18명이며,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고 평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습니다.
이들은 현 정부가 ‘게임산업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 산업발전에 걸림돌이 된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168명 중 105명(59.32%)이 산업에 대한 이해부족을 부정적 평가의 이유로 꼽았으며, 이어 ‘규제남발’(33.9%), ‘진흥정책 부족’(3.39%)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6명은 기타 의견을 제시했는데, ‘위 세가지 모두 해당된다’는 의견이 5명이었으며, ‘전 정부와 달라진 게 없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설문 참가자들은 현 정부가 게임산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진흥 보다는 규제를 치우쳤고 그 결과 산업발전에 부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식은 차기 정부에 대한 바람에도 나타났습니다. ‘차기 정부에서 게임산업을 위해 이것만은 꼭 해주었으면 하는 일’을 묻는 설문에 대해 90명(48.39%)이 ‘인식개선 및 지원정책 수립’을 꼽았습니다. ‘셧다운제 등 각종 규제 철폐’는 57명(30.65%)이 선택해 뒤를 이었습니다.
2010년을 기점으로 청소년 탈선의 원인으로 ‘게임’이 지목됐고 여성가족부의 주도로 ‘셧다운제’ 등 각종 규제가 생겨났습니다. 보수언론은 게임을 마약과 같은 사회악으로 규정하면서 관련업계로부터 비난을 받기도 했습니다.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등 대선후보들도 게임을 비롯한 IT산업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차기 정부에는 과거 정통부와 같은 IT 콘트롤센터를 설립한다는 공약을 제시해 둔 상태입니다.
[데일리게임 곽경배 기자 nonny@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