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부담없이 앱을 개발해 유통하던 1인 개발자들은 난감한 상황에 봉착하게 됐다. 통신 판매업에 따라 사업자 등록을 마치면 연간 4만5000원의 면허세와 부가가치세 10%, 앱 판매에 따른 소득세 등을 추가 부담해야 한다. 사장님이 됐으니 4대 보험의 의무까지 지게 됐다. 등록한 앱이 매출을 발생하지 못해도 세금은 꼬박꼬박 내게 생겼다는 이야기다. 개발자들이 들고 일어설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이번 앱스토어를 시작으로 국내 모바일 오픈마켓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구글 플레이에도 해당 정책이 적용질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모바일 업계의 향후 전망은 더욱 불투명하게 됐다.
눈여겨 볼 점은 이같은 상황이 박근혜 정부의 중점 기치인 '창조경제'와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점이다. '창조경제'는 국민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과학기술과 ICT(정보통신기술)에 접목, 새로운 산업과 시장을 창출한다는 성장 전략이나 이같은 의미가 무색할 정도로 앱 오픈마켓을 바라보는 현 정부의 시각은 폐쇄적이기 이를데 없다.
그저 모바일 콘텐츠 시장이 규모있게 성장하니 과세를 부과해 빈 국고를 채우겠다는 모양새로 외에는 달리 설명이 되지 않는다. 오죽하면 창조경제를 빗대 '창조과세'라는 말까지 떠돌고 있을까.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급부상한 모바일 콘텐츠 시장. 진정한 창조경제 실현을 원한다면 코 앞으로 다가온 앱 개발자들의 과세부담을 정부가 나서서 없애주고, 안정적인 앱 개발 환경 구축에 힘써야 한다.
[데일리게임 문영수 기자 mj@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