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알리바바가 올해 초 론칭한 모바일게임 플랫폼의 입점 대상을 국내에서 찾는다는 소식은 더더욱 관심이 쏠렸다. 또한 알리바바가 중국 게임업계의 최강자인 텐센트와 경쟁관계를 형성하며 묘한 볼거리를 제공한 것 역시 사실이다.
그러나 3분기에 접어든 지금, 알리바바의 지난 행보는 의외로 '조촐'해 보인다. CJ 게임즈에 5330억 원을 꽂아 넣은 텐센트와 달리, 알리바바는 파티게임즈의 '무한돌파삼국지'와 네시삼십삼분의 '활' 현지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한 것이 전부다. 업계 일각에서는 알리바바가 유망 게임업체를 인수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돌았지만 현실화된 것은 없다.
알리바바가 올해 상반기까지 내로라하는 국내 게임업체들을 훑다시피 만났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알리바바가 현재 국내 게임에 대한 관심은 잠시 접어두고 엔터테인먼트 업계와의 미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는 소리도 들린다. 중국에서까지 화제가 된 '별그대' 같은 한류 콘텐츠를 찾겠다는 것이다.
급속도로 식어버린 게임 확보에 대한 알리바바의 의지는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의 한계와도 맞닿아 있다는 관측이다. 중국 시장에서 통할만한 게임들을 한국에서 발굴하기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얘기다.
비대한 게임 용량, 어려운 현지화 등 각종 요인이 있겠으나 단연 큰 이유는 차별화된 게임을 국내 시장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는 이유가 크다.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에 '몬스터길들이기'로 대표되는 콜렉션 RPG, '클래시오브클랜'와 흡사한 전략 장르, 아니면 엇비슷한 캐주얼 퍼즐 게임 밖에 없다는 이유다.
하지만 '몬스터길들이기'는 이미 텐센트를 통해 현지에서 서비스되고 있는데다 '클래시오브클랜' 역시 중국 매출 순위 10위 권에 진입해 있을 만큼 인기를 끌고 있다. 유사 게임을 확보해 봐야 승산이 낮다는 것은 너무나 자명한 사실이다.
특히 국내 매출 순위 1위 게임인 '몬스터길들이기'가 중국 내 매출 순위 20위 권(앱스토어 기준)에 머물러 있다는 점도 한국 모바일게임의 '프리미엄'을 갉아먹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국산 게임이라면 무조건 중국에서 통하던 10여 년 전과 지금의 상황이 많아 바뀌었다는 얘기다.
한국 모바일게임을 관심싶게 바라보던 알리바바의 시선이 급속도로 식었다는 점은 분명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게임성을 찾아보기 힘든 저질 카피캣 게임의 양산은 이제 해외 업체들도 느낄 만큼 그 위험성이 도를 넘었다는 신호로 읽힌다.
[데일리게임 문영수 기자 mj@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