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암 니슨은 자신의 영지가 약탈 당하는 것을 보고 '네가 누군지 모른다 하지만 널 찾아낼 것이다'라는 영화 속 명대사를 던진다. 리암 니슨은 진지하지만 보는 입장에서는 참 흥미롭다.
광고에 등장하는 리암 니슨의 ID는 '앵그리니슨52'다. 리암 니슨이 52년생이라는 점과 게이머가 아이디를 만들 때 맨 뒤에 자신의 생년을 붙이는 흔한 예를 광고에 녹여 소소한 웃음까지 선사한다. 짧지만 참 강렬했다.
게임중독 공익 광고는 '게임 BGM소리가 환청처럼 들린 적이 있다', '사물이 게임 캐릭터처럼 보인 적이 있다', '게임을 하지 못하면 불안하다', '가끔 현실과 게임이 구분이 안된다' 등 네 가지 질문을 던지며 그에 맞는 영상이 함께 나온다.
특히 '게임과 현실이 구분되지 않는다'에서는 건장한 청년이 노인을 게임 캐릭터로 보고 마구 주먹질을 하는 충격적인 영상이 곁들여진다. 기절초풍할 노릇이다.
이 영상이 게이머들에게 공분을 사는 이유는 애당초 던지는 질문 자체가 납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미 게임을 마약과 동일선상에 놓고 만든 영상에서 그 무엇을 바랄까. 마구잡이식으로 '게임은 나쁜 것', '게임은 중독물질'이라고 몰아가는 이 영상을 '공익 광고'라고 부를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앞서 언급한 '클래시오브클랜'의 경우 공중파 TV는 물론 각종 매체를 활용한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단숨에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을 휘어잡았다.
또 게임 캐릭터를 활용한 재미있는 영상으로 게임을 즐기지 않는 일반 대중들에게도 '클래시오브클랜'이라는 이름을 각인 시켰다. 최근 슈퍼셀이 선보인 '마법사' 광고 노출 이후 '파이어볼'을 외치며 뛰노는 아이들도 심심찮게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영상 매체의 파급력은 상당하다. 그렇지 않아도 게임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학부모들에게, 이제 막 게임이라는 하나의 문화를 접하는 어린 아이들에게 보건복지부의 게임중독 영상이 미칠 영향은 결코 적지 않을 것이다.
게임중독 공익 광고는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파괴한다'라는 경고 문구로 끝맺음 된다. 이 영상 하나만으로 대한민국 게임산업 종사자들과 게임을 즐기는 수천만 게이머들의 마음은 이미 파괴됐다. 보건복지부가 상상한 그 이상으로 말이다.
[데일리게임 강성길 기자 gill@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