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씨소프트는 지난 16일 넷마블의 신주 9.8%를 사들인다고 발표했고, 17일 넷마블은 엔씨소프트의 자사주 8.9%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3800억 원대의 '빅딜'에 그 배경과 향후 이들의 전망에 관심이 쏠린다.
이날 발표회를 찾은 기자들의 관심은 온통 넥슨-엔씨 대결 구도에 넷마블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쏠려 있었다. 넷마블이 엔씨소프트의 자사주를 인수하면서 엔씨소프트의 우호 세력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넷마블 방준혁 의장도 이를 의식한 듯 질의응답 시간 마지막에 따로 마이크를 들어 "단순히 경영권 이슈에 활용되기 위해 지분을 투자한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것"이라고 선을 그은 뒤 "엔씨-넥슨 이슈 보다 엔씨와 넷마블이 손을 맞잡은 것에 대한 의미를 따로 해석해달라"고 당부했다.
일단 엔씨-넥슨의 경영권 문제는 차치하고, 국내 최고의 개발력을 가진 엔씨소프트와 1등 모바일게임 회사 넷마블게임즈의 전략적 제휴 자체에 의의가 있다.
엔씨소프트는 넥슨과의 협업을 통해 '마비노기2' 공동 개발 프로젝트를 가동한 바 있다. 당시 업계는 국내 최고로 꼽히는 온라인 게임업체들의 협업을 통해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기대감에 부풀었지만 결국 프로젝트는 엎어졌다. 그리고서 나온 게 이번 엔씨소프트와 넷마블의 전략적 제휴다.
그 동안 국내 게임 시장은 메이저 업체들과 중소 개발사들이 서로 제 밥그릇 챙기기에 급급했다. 하지만 국내 온라인 시장은 라이엇게임즈의 '리그오브레전드'가 접수한지 오래고, 모바일 시장은 슈퍼셀의 '클래시오브클랜'이 장악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게임 시장을 이끄는 엔씨소프트와 넷마블의 전략적 제휴는 상당히 돋보인다.
엔씨소프트는 그 동안 한 번도 타 회사에 허용한 적이 없었던 자사의 IP를 넷마블이 활용할 수 있게 하고, 넷마블은 자사 퍼블리싱 타이틀이 아니면 절대 허용하지 않았던 크로스 프로모션 빗장을 엔씨소프트에게 푼다. 외국 기업에 빼앗긴 안방 주도권을 국내 게임사들이 손을 잡고 찾아오자는 것이다.
[데일리게임 강성길 기자 gill@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