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게임위, 2018 게임물 등급분류 및 사후관리 연감 발간](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8102411144101805d01e022ea658143127152.jpg&nmt=26)
먼저 2017년 국내에서 등급분류를 받아 유통된 게임물은 총 57만9113건으로 전년 대비 1만2216건(2.2%) 증가했다. 이 중 모바일 오픈 마켓 사업자의 자체등급분류 게임물이 57만7431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년 대비 1만2033건(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위와 게임콘텐츠등급분류위원회를 통해 등급이 결정된 게임물은 1682건으로, 전년 대비 183건(12.2%) 증가했다.
플랫폼별로는 PC·온라인 게임물 139건(38.3%), 아케이드 게임물 84건(20.0%), 비디오·콘솔 게임물 22건(4.4%) 증가했고, 모바일 게임물의 경우 62건(28.3%) 감소했다.
다음으로 게임위의 사후관리와 관련하여, 2017년 경찰의 불법 게임물 단속 지원 업무는 총 220건을 실시하여 155건(70.5%)을 단속에 성공했으며, 불법 게임물 감정·분석 지원 업무는 총 1505건 처리했다.
또한 PC·온라인 및 모바일 게임물에 대한 모니터링 업무는 총 7만8800건 실시했으며, 불법 온라인·오픈마켓 게임물을 비롯해 불법 프로그램(사설서버 및 오토프로그램) 및 불법 환전사이트 등에 대해서는 시정요청 1만1547건, 시정권고 4392건, 수사의뢰 15건, 행정처분의뢰 4건을 조치했다.
한편, 게임위는 건강한 게임 생태계 조성과 올바른 게임 이용 문화 확산을 위해 2017년 교육TF를 신설하여 게임물 이용자 및 사업자 교육을 강화했다.
이를 통해 'GOOD GAMER BIBLE-슬기로운 게임 생활 기본서', 'WELL GAME MAKER-건강한 게임 만들기' 등 게임 교육 교재를 제작해, 게임물 이용자 교육 244회(6107명), 게임물 사업자 교육 6회(742명)를 실시하는 등 게임물 이용자 및 사업자 교육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2017년 국내에서 등급분류가 결정된 비디오·콘솔 게임물 519건을 대상으로 미국(ESRB)·유럽(PEGI)·일본(CERO)과 이용등급 및 내용정보를 비교한 결과, 이용등급 일치율은 한국과 일본 79.8%(381건 중 304건 일치), 한국과 유럽 74.1%(451건 중 334건 일치), 한국과 미국 56.4%(452건 중 255건 일치) 순으로 나타나 전체 평균은 70.1%를 기록했다.
2018 연감에 수록된 자세한 내용은 게임위 홈페이지 자료실을 통해 무료로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하다.
오경택 기자 (ogt8211@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