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넥슨 신규개발본부는 지난 3월15일부터 다양한 개발 관련 직군에서 세 자릿수 규모 특별 수시 채용을 진행 중이다. 최근 들어서는 넥슨 블록버스터급 '신규 MMORPG'와 이은석 PD가 참여한 'HP', 넥슨 인기 IP 기반 신작 '테일즈위버M' 등 굵직한 타이틀에 새로운 시도가 돋보이는 소규모 프로젝트까지 다양한 라인업을 공개해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세 자릿수 채용은 최대한 많이 뽑겠다는 의지
김 부사장은 "라인업도 일부러 보여드렸다. 스크린샷이라도 봐야 우리가 어떤 프로젝트를 하는지 더 잘 알 수 있을 것"이라며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완전히 새로운 시도도 있다. 본인에게 맞는 프로젝트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찾아오셨으면 좋겠다. 발굴한 인재가 빛을 볼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테니 욕심 있고 도전의식 있는 분들의 많은 지원을 부탁한다"고 예비 지원자들에게 어필했다.
◆개방과 소통으로 협업 시너지 늘린다
넥슨 신규개발본부는 개방과 소통, 협업을 늘려나가는 구조로 조직을 쇄신하고 있다. 내부 개발 스튜디오들의 독립성을 최대한 존중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서로가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최대한 공유하고 적극적인 교류와 협력을 통해 회사 전체 차원의 시너지를 내겠다는 것.
김대훤 부사장은 "개발팀이 분리됐던 것이 전통이자 강점이기도 했지만 아쉬운 점도 있었다. 교류와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내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기본적으로 모든 것을 오픈한다는 마인드"라고 달라진 방침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이어 "표준화와 공통화, 일원화 작업을 통해 효율성을 높이려 하고 있다. 공통 서버 연구 개발 조직도 있고 프레임워크를 한 팀에서 만들어 여러 프로젝트에서 쓰기도 한다. 독립적으로 움직일 때는 한 프로젝트는 그 팀 안에서만 소화해야 했기에 옆에서 돕기 어려웠지만 개방적인 구조에서는 협업도 훨씬 수월한 장점이 있다"고 새로운 프로세스의 장점에 대해 설명했다.
다만 무조건적인 일원화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김 부사장은 "팀마다 어느 정도 존중은 해준다"고 부연 설명했다. 김 부사장은 "전면 공개에 대한 거부감을 갖는 분들도 있을 수 있다. 외부 유출 등 부작용이 나올 수도 있겠지만 감수하고 가겠다는 것"이라며 소통을 늘리는 방향을 이어갈 것을 강조했다.
◆넥슨 내부 프로젝트 사상 최대규모 프로젝트 '신규 MMORPG'

◆이은석표 'HP' 연내 테스트…볼륨 커진 '테일즈위버M'
김대훤 부사장은 신작 'HP'에 대한 기대감도 숨기지 않았다. 그는 "개인적으로 'HP'에 거는 기대도 크다. 올해 중으로 프리 알파 테스트를 진행해볼 계획이다. 머지 않은 시점에 보여드릴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인터뷰] 넥슨 김대훤 부사장 "신뢰 회복 위한 마지막 기회 잡겠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1042919110904711da2c546b3a21057254222.jpg&nmt=26)
◆다양한 새로운 시도 담은 '리틀' 라인업도 눈길
넥슨 신규개발본부는 '리틀' 라인업을 통해 작지만 참신하고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용자가 게임을 직접 만드는 'MOD', 차세대 AI기술을 활용한 신개념 놀이 플랫폼 '페이스플레이(FACEPLAY)'는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넥슨은 해저 탐험 테마의 'DR', 빠른 템포의 전투와 스타일리시 액션을 앞세운 팀 대전 액션게임 'P2', 독특한 분위기에서 동료와 함께 중세 판타지 던전을 모험하는 'P3' 등도 '리틀' 라인업 작품으로 소개했다.
그는 "실패가 두려워서 도전하지 않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사장은 "새로운 시도는 작게 시작해 초기 단계에서 빠르게 선보이며 만들어나가는 일도 필요한 것 같다"고 새로운 시도를 성공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것을 천명했다.
◆3년 안에 신규 IP 5개 출시가 목표…마지막 기회 잡는다
새로운 도전도 중요하지만 결국 성공으로 이어져야 빛을 볼 수 있다. 국내 게임업계가 많은 우려 속에서도 편중된 장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도 성공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감안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넥슨 신규개발본부 또한 새로운 시스템으로 전환한 만큼 새로운 프로젝트를 성공시키는 일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김대훤 부사장은 "각각의 영역에서 좋은 결과물을 보여드려야 한다. 꾸준히 밀어보려고 한다"며 "3년 안에 신규개발본부에서 IP로 불릴 만한 타이틀을 5개 정도는 선보이고 싶은 욕심이 있다"고 포부를 밝혔다.
![[인터뷰] 넥슨 김대훤 부사장 "신뢰 회복 위한 마지막 기회 잡겠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1042919115000476da2c546b3a21057254222.jpg&nmt=26)
이원희 기자 (cleanrap@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