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도 인공지능 기술을 업무환경에 적극 도입하고자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인공지능만으로 게임이 개발되는 단계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지만, 이미지 및 아트워크 제작, 시네마틱 영상 제작, 게임 내 사운드, 레벨 디자인 등 게임 개발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미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 중이다.
엔씨소프트는 자체 인공지능 기술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을 뿐 아니라, 최근 구글 클라우드와 게임 개발 과정에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위한 협업을 발표했다. 넥슨도 구글 클라우드와의 협업을 통해 인공지능 활용 시스템을 확보,·운영하고 있으며, 크래프톤은 인공지능 국제 학회에 총 14편의 논문을 게재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넷마블, 컴투스 등 다양한 국내 게임사들이 게임업계 다양한 부분에 인공지능을 활용하고자 연구 개발을 진행 중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게임사의 부담을 줄이는 것을 넘어, 장르 다변화를 요구받고 있는 국내 게임시장에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게임 개발이 효율적으로 변하면서 게임 출시가 늘어나면 이용자들의 관심이 탄탄한 이야기, 기발한 아이디어 등 차별점을 갖춘 게임에 쏠릴 가능성이 적지 않다. 이에 게임사들의 참신한 기획과 게임성을 갖추기 위한 노력이 늘어나고, 게임시장에 변화가 찾아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넘어서 현재 개발 중인 게임 내 실제로 대화 가능한 NPC, 멀티 플레이 게임에서 함께 게임하는 인공지능 이용자 등이 도입된다면 온라인 게임들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게임 내 몰입감을 높이는 장치가 될 뿐 아니라, 이용자 수 부족으로 인해 게임 진행이 어려웠던 온라인 게임에서 이용자들의 경험을 확장시키며 수명을 연장시키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인공지능 기술이 보급화된다면 1-2명으로 구성된 소규모 개발진이 만드는 게임 개발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인디 게임 개발이 늘어나면서 새로운 게임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
다만 인공지능 기술에는 몇 가지 우려가 뒤따르는 것이 사실이다. 인공지능이 학습한 이미지 및 데이터의 저작권 문제, 인공지능 활용 콘텐츠의 수익 배분 방안, 인공지능 캐릭터에 대한 윤리적 경계 등 논의가 필요한 사안들이 적지 않다.
기술의 발전은 혁신의 단초가 된다. 증기기관의 탄생, 인터넷의 발명 등 새로운 기술이 시대를 변화시켰듯, 게임도 개발 엔진의 발전, 기기 환경의 변화 등에 따라 한 단계 혁신을 거듭해왔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게임 생태계를 변화시키는 새로운 혁신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학범 기자 (ethic95@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