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센서타워(Sensor Tower)가 최근 발표한 '2025년 모바일 게임 현황' 리포트의 내용에 따르면 모바일게임 다운로드 수는 2020년 576억 건에서 2024년 493억 건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인앱 구매(IAP) 수익은 지난 2년 간의 수익을 넘어서는 820억 달러(한화 약 121조 원)에 달하며 신규 사용자의 유입보다 결제자당 지출액 증가가 성장을 주도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서비스 플랫폼에 있어서는 애플 앱스토어가 캐주얼 및 미드코어 게임으로 한 인앱 구매 기반 이용자에 가장 중요한 플랫폼, 구글 플레이는 동영상 광고 수익화를 계속 장악하고 있는 만큼 하이퍼캐주얼과 하이브리드 캐주얼 모델이 선호하는 플랫폼으로 각각 자리 잡고 있다.

이용 패턴 역시 모바일 게이머가 새로운 게임을 다운로드하는 빈도는 줄어들었지만, 게임을 플레이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매년 인앱 수익이 성장하고 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에 게임사들은 게임을 라이브 서비스로 운영하며, 새로운 콘텐츠를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라이브 옵스 방식에 초점을 맞춰 이러한 변화를 적극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장르에 있어서는 전 세계적으로 전략 게임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했으며, 그 다음으로 슈팅, 시뮬레이션, 퍼즐, 스포츠와 아케이드 순으로 플레이 시간이 길었다. 게임들 중 사용 시간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게임은 '프리 파이어'와 '로블록스'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나타났다.
지역별 특징으로는 중남미는 모바일게임 분야에서 가장 높은 전년대비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인앱 구매 수익은 13% 증가했다. 이러한 성장은 퍼블리셔가 선호하는 소프트 론칭 시장이 된 브라질이 주도하고 있으며, 업계에 있어 모바일게임 확장을 위한 핵심 시장으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장르별 다운로드 순위를 살펴보면 2024년에는 시뮬레이션과 퍼즐 장르가 각각 전체 다운로드의 20%를 차지하면서 전 세계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를 주도했다. 이어 시뮬레이션은 0.4% 소폭 성장, 퍼즐은 3% 소폭 감소했으며 아케이드 게임은 12.5%의 상당한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체 다운로드의 19%를 유지하며 꾸준한 인기를 반영했다.

장르별 인앱 구매 순위를 살펴보면 2024년에는 전략 게임이 175억 달러(한화 약 25조8609억 원)로 전 세계 1위를 차지했고, RPG가 170억 달러(한화 약 25조1220억 원)로 그 뒤를 바짝 쫓았다. 퍼즐과 카지노 장르는 각각 122억 달러(한화 약 18조287억 원)와 117억 달러(한화 약 17조2899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3위와 4위를 차지했으며, 퍼즐 게임은 다운로드 감소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수익 창출을 보여줬다.
액션, 시뮬레이션, 슈팅 장르는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으며, 이 중 46% 성장한 액션 장르가 매출 증가를 주도했다. 스포츠 게임은 다운로드 감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27억 달러(한화 약 3조 9894억 원)의 수익을 올렸으며, 이러한 추세는 전략, RPG, 액션과 같이 경쟁이 치열하고 몰입도가 높은 장르의 강력한 수익화 잠재력이 전 세계 플레이어를 계속 사로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로얄매치'와 '로블록스'는 강력한 라이브 옵스 모델을 기반으로, 출시된 지 수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강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라스트 워: 서바이벌'과 '화이트아웃 서바이벌'은 2024년 주목할 만한 게임이었다. '캔디크러쉬사가'와 '코인 마스터'는 각각 '로얄매치'와 '모노폴리 고!'와의 직접적인 경쟁에서 비교적 하락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상위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김형근 기자 (noarose@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