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게임과학연구원, 18일 '2025 게임과학 심포지엄' 개최

게임과학연구원 '2025 게임과학 심포지엄' 관련 이미지(제공=게임과학연구원).
게임과학연구원 '2025 게임과학 심포지엄' 관련 이미지(제공=게임과학연구원).
게임과학연구원(원장 김경일)은 오는 18일 디그라한국학회(학회장 윤태진)와 함께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소강당에서 '2025 게임과학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다면적 플레이어: 게임 플레이의 다양한 층위들'을 주제로, 국내·외 저명한 게임 연구자들의 발제를 통해 게임 플레이어의 행태에 대한 글로벌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누구나 사전등록을 통해 무료로 참가할 수 있으며, 게임 이용자들의 행동과 심리에 대한 본질적인 논의와 게임이용장애 관련 최신 연구 동향이 조망될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물관리위원회, 게임문화재단, 한국게임산업협회가 공식 후원하며, 동시통역이 제공된다.

심포지엄은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세션은 게임연구학술지(Game Studies)의 창립 편집장인 홍콩시립대 에스펜 올셋 교수와 디그라한국학회 윤태진 학회장의 '게임 플레이어 이해하기'에 대한 담론으로 시작된다, 게임의 유형과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상대적으로 규정되는 이용자의 존재를 탐구하고 게임을 플레이하는 근본적인 이유인 즐거움에 기반한 게임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한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핀란드 유베스큘라대학교 벨리-마띠 카훌라티 연구교수와 이화여자대학교 진예원 교수가 '게임이용장애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에 대해 발표한다. 이들은 유럽연구위원회(Europen Research Council)의 지원으로 진행 중인 장기 연구 프로젝트 ORE(게임이용장애의 존재론적 재구성)의 연구진으로, 이들의 연구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게임이용장애 측정 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고 국제 사회에서 게임이용장애가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대만 국립정치대학교 크리스틴 쿡 교수와 서울대학교 이상혁 강의교수가 '트롤러에 대한 문화적, 계량적 이해'를 주제로, 문화적 관점에서 트롤링 연구의 역사를 살펴본다. 나아가 MOBA 장르에서 발생하는 트롤링 로그 데이터 분석을 통해 트롤링이 일어나는 동기와 대응 방안을 알아보는 등 이용자들의 트롤링 행위를 조명한다.

게임과학연구원 김경일 원장은 "게임 연구는 이용자의 경험, 그리고 이들이 게임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포함해 사회적 의미까지 탐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이번 심포지엄이 게임 이용자 문화를 깊이 있게 조명하고, 그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이학범 기자 (ethic95@dailygame.co.kr)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