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오후 서울시 강남구의 코엑스에서는 한국게임산업협회 신임 협회장 취임 간담회가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서는 지난 10일 임기를 시작한 조영기 협회장이 앞으로의 협회 발전 계획과 포부 등을 밝히기 위해 마련됐다.
이어 "지난 30여 년간 폭발적인 성장으로 23조 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했고, 세계 4위라는 견고한 위치를 유지 중"이라라고 대한민국 게임산업의 성장세를 되짚으며 "3위인 일본과의 격차도 줄고 있어 조만간 글로벌 TOP 3 게임 강국으로 도약이 기대된다"라고 긍정적인 부분을 밝혔다. 특히 "콘텐츠 산업 수출에서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의 3분의 2에 달하며, 국민 10명 중 6명이 게임을 이용할 정도로 게임은 국민 여가 문화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긍정적인 지표에도 불구하고 산업 내부의 위기 신호는 여전하다"며 "2023년을 정점으로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으며, 위축된 투자 환경으로 인해 게임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가 흔들리고 있다. 글로벌 경쟁 심화와 외산 게임의 국내 시장 공세, 질병코드 지정 이슈 등으로 게임산업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라고 우려를 표시했다.
조영기 신임 회장은 이런 상황에서 게임산업협회의 수장으로써의 앞으로 보여줄 활동 방향에 대해 '연결-소통-협력'의 3가지 키워드를 강조했다.
먼저 '연결'과 관련해서는 젊은 인재와 기업, 국내 기업과 글로벌 파트너 간의 연결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선순환적이고 건전한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다음으로 '소통'의 경우 회원사 간의 원활한 소통뿐 아니라, 게임 이용자 및 유관 단체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게임산업에 대한 사회 전반의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키겠다고 약속했다. 게임 전시회 '지스타'의 경우 단순 전시를 넘어 게이머와 업계가 함께 어우러지는 글로벌 축제로 성장시킬 방침이라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협력'에 대해서는 "정부와 국회는 물론, 언론과 학계, 법조계 등과 적극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해 불합리한 규제를 완화하고, 산업 진흥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도출하겠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형근 기자 (noarose@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