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기획 : 게임은 마약인가③] 미국과 유럽 부모는 "자녀 게임이용은 우리몫"

최근 게임산업은 사상 유례 없는 정부의 탄압 아래 신음하고 있습니다. 문화관광부, 여성가족부, 교육과학부, 청와대로 이어지는 규제의 수레바퀴는 산업의 근간을 흔들고 있습니다. 건전한 문화 여가활동의 큰 축으로 자리잡은 게임이 마침내 '게임=마약'이라는 똥물을 뒤집어쓰는 사태까지 이르렀지요. 데일리게임에서는 정부와 일부 보수언론이 주장하는 게임산업과 게임, 또 게임으로 부터 야기되는 여러가지 악영향에 대한 오해를 바로 잡고자 게임과 관련된 국내외의 여러 연구 사례들과 언론보도, 학계의 의견 등을 짚어봤습니다.<편집자주>


정부가 최근 추진하고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게임 이용 규제는 서비스 및 상품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게임 선진국인 북미와 유럽의 경우 서비스 규제가 아닌 이용 방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때문에 게임으로 인한 부작용을 미연에 차단하고 실효성이 높다는 것이 게임 전문가들의 비교 분석이다.

아주대학교 김민규 교수는 "국내 게임물등급분류를 포함해 등급심의는 이미 청소년 보호와 게임물 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포함하고 있다"며 "서비스나 상품을 규제할 것이 아니라 교육 차원에서 이용 행태에 대한 지도가 가장 중요하고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북미 게임등급위원회(ESRB)와 유럽 게임등급분류협회(PEGI)에 따르면 두 지역의 연령등급심의는 학부모에게 각 게임의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해, 자녀가 적합한 게임을 구매해 즐기도록 지도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ESRB 페트리샤 반스 의장은 "지난해 미국 학부모 85%가 ESRB 등급을 인지하고 있으며, 65%가 심의 결과를 믿고 아이에게 게임을 사주고 있다"고 말했다.

반스 의장에 따르면 ESRB는 소비자가 게임에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지 알아야 하기 때문에 폭력성도 9단계로 나눠 심의를 진행한다는 것. 이를 통해 소비자는 ESRB가 제공하는 폭력성의 단계로 얼마 만큼의 폭력이 포함된 게임인지 알 수 있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의 역할'이다. 북미나 유럽은 ESRB나 PEGI에서 정한 등급심의에 따라 학부모가 게임의 위험성을 감지하고, 올바른 게임 이용을 제시한다. 강제 법안을 만들어 무조건 잘못됐다고 인식하는 국내와는 인식 자체가 다르다.

북미와 유럽은 국내와 달리 연령등급심의를 받는 것도 강제가 아닌 권고사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외 게임사들은 별도의 비용을 투자하면서까지 심의를 받는다. 이에 대해 ESRB 페트리샤 반스 의장은 "소비자의 신뢰라는 큰 장점을 얻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심의를 거쳐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지침을 내려줄 수 있다는 해석이다.

한편 북미와 유럽은 국내와 달리 업계와 민간 차원의 게임자율심의 등급을 학부모에게 올바른 게임 이용 지도를 안내하는 지침으로 활용한다.

[데일리게임 이재석 기자 jshero@dailygame.co.kr]

◆관련 기사
[기획 : 게임은 마약인가①] 한덕현 교수 "의학적 근거없는 주장"
[기획 : 게임은 마약인가②] 게임이 폭력성 부른다?…증명 안된 가설일뿐
[기확 : 게임은 마약인가④] 뇌가 짐승처럼 변한다고?…학계서도 무시하는 이론
[기획 : 게임은 마약인가⑤] 美 게임 판매 금지는 자유권 침해
[기획 : 게임은 마약인가⑥] 게임좀비론 쓴 언론사 인터뷰 날조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

ad